본문 바로가기

메뉴열기

지속가능경영 개요

체계적인 운영체계를 통해 충실한 활동 추진 및 투명한 공개

지속가능경영 개요

효성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며 기업의 경제, 사회, 환경적 책임을 다하고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고경영진이 직접 참여하는 의사결정기구를 포함, 체계적인 지속가능경영 운영체계를 수립하는 한편, 고객, 임직원, 협력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과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이니셔티브, 기업의 경영활동을 고려하여 경제, 사회, 환경 측면의 주요 이슈를 도출하여 이슈별 대응과 성과를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경영 철학 및 전략

효성첨단소재는 기업과 시민사회가 긴밀하게 협조하여 사회 이슈를 해결하고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CSE(Creating Social Eco-system)를 만들기 위해 경제·사회·환경적 책임을 충실하게 수행하고자 합니다.

CSE Creating Social Eco-system
CSE Creating Social Eco-system
고객
임직원
지역사회
주주 및 투자자
협력사
기업
  • 사용자 안전과 편안함을 지켜주는 솔루션 제공

    기술 발전에도 매일 발생하는 각종 교통별 사망사고

  •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기여하는 기술 및 제품

    인류와 동식물의 생존을 위협하는 기후변화 위기

  • 생태계를 지키는 지속 가능한 자원의 활용

    증가하는 폐기물 및 자원의 고갈 문제

  • 이해관계자에게 부정적 영향이 없는 책임 있는 기업 활동

    환경오염, 유해물질 사용 등 ESG에 대한 인식 변화

당사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회사 내외부의 다양한 이슈를 제품 및 고객, 인재경영, 지역사회, 환경 등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수집, 비즈니스 영향도와 이해관계자 관심도에 따라 평가합니다. 이렇게 선정된 중요 이슈(Focus Issues)를 중심으로 지속가능 보고서 발간을 준비합니다. 효성첨단소재는 지속가능경영 활동들과 그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경제·사회·환경적 책임을 완수의 중요한 요소임을 인식하고 있으며, 지속가능위원회를 통해 전사적으로 당사의 활동 계획 및 성과를 검토하고 나가야할 방향성을 지속 점검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경영 식별 및 현황 분석, 지속가능경영 분석 및 평가, 지속가능경영 중대성 평가
지속가능경영 분석 및 평가표
Reported Issues UN SDGs Linkage
Focus Issues &
Business Cases
  •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
  • 인재 관리 및 육성
  • 기후변화 대응
  • 사업장 안전보건
  • 화학물질 관리
  • 고객 만족 및 제품 책임
  • 친환경 제품 및 기술개발
3. good health and well-being 4. quality education 5. gender equality 6. clean water and sanitation 7. affordable and clean energy 8. decent work and economic growth 9. industry, innovation and infrastructure 10. r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12. r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13. climate action 15. life on l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 지배구조
  • 리스크 관리
  • 윤리경영
  • 인권경영
  • 인재경영
  • 나눔경영
  • 그린경영
  • 정보보안
1. no poverty 3. good health and well-being 4. quality education 5. gender equality 8. decent work and economic growth 9. industry, innovation and infrastructure 10. reduced inequalities 12. r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13. climate action 16. peace, justice and strong institutions 17. partnerahips for the goals

운영 및 추진체계

지속가능경영 위원회

효성첨단소재는 지속가능경영이 임직원의 일상업무 수행의 고려대상이 되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관련 활동이 수행을 독려하고자 회사 최고경영진으로 구성된 지속가능경영 위원회를 운영합니다. 회사의 최고경영진은 본 위원회를 통해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주기적으로 보고받고 주요 안건을 의결합니다.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회사가 당면한 상황 및 변화 트렌드를 기반으로 향후 회사 지속가능경영의 방향성을 논의해 결정하고 이를 분야별 전문 위원회에 공유하여 실질적 변화 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합니다.

위원장 : 대표이사
  • 각 사업부 대표
  • 베트남 대표 법인장
  • 중국 대표 법인장
  • 유럽 대표 법인장
  • 경영전략실장
  • 재무실장
  • 지원실장

분야별 전문 위원회

효성첨단소재는 지속가능경영 사무국(舊지속가능경영 대응 TFT)과 4개의 전문위원회를 중심으로 해외법인을 포함, 전사적 지속가능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경영 위원회 규정에 따라 설치한 하부 분야별 전문 위원회는 각 분야별로 지속가능경영 활동의 방향성 및 활동 기획, 성과 보고 및 모니터링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위원회는 관리 분야별로 안건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신중하게 검토하기 위해 각 분야별 본부장(또는 C-Level)급을 위원장으로, 관련 업무 책임자 및 임원을 위원으로 구성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경영 사무국을 간사로 최소 연 2회의 정기 회의를 통해 관련 이슈를 공유하고 실행 목표의 추진 현황 등으로 공유하고 해결방안을 논의합니다. 효과적인 업무 추진 및 개선을 위해 분야별 전문 위원회는 위원들과 함께 개선 과제를 기획하고 직접 실행을 추진, 모니터링 할 각 실무자가 해외법인을 포함, 사업장별/분야별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지속가능경영 위원회
지속가능경영 사무국
그린경영위원회위원장 : CTO/CPO
기후변화대응, 환경영향 저감, 친환경활동 등 그린경영 관련 이슈 검토 및 안건 심의
SHE위원회위원장 : CSO
정기적 안전 모니터링 및 중대재해, 안전보건 관련 이슈 검토 및 안건 심의
정도경영위원회위원장 : 지원실장
인재개발, 윤리경영, 감사, 보안 등 정도 경영 관련 이슈 검토 및 안건 심의
공급망관리위원회위원장 : 구매총괄
구매원칙, 협력사 선정 및 관리 등 공급망 관리 관련 이슈 검토 및 안건 심의
이해관계자위원회위원장 : 재무실장
투자자/주주, 고객, 지역 사회 등 대내외 이해관계자 대상 커뮤니케이션 관련 이슈 검토 및 안건 심의
리스크관리 위원회위원장 : 경영전략실장
사업연속성을 위한 회사 경영 전반의 리스크 모니터링 및 관련 안건 심의

지속가능경영 사무국

지속가능경영 사무국은 지속가능경영활동에 대한 임직원 인식 제고 및 개선 활동 추진을 지원합니다. 지속가능경영 사무국의 환경, 사회, 거버넌스 담당자는 지속가능경영위원회 및 분야별 전문 위원회 간사를 수행, 최고경영진과 위원들이 논의한 방향성과 피드백이 각 위원회의 활동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분야별 개선활동의 기획을 검토합니다. 특히, 국내외 지속가능경영 트렌드를 공유하고 개선과제의 실행을 관리· 모니터링하며 과제가 완수 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021년 지속가능경영위원회 (’21.7.9)
2021년 지속가능경영위원회 (’21.7.9)

’22년 상반기 지속가능경영위원회 및 하부 분야별 전문 위원회 주요 안건 (’22.07월)

’22년 상반기 지속가능경영위원회 및 하부 분야별 전문 위원회 주요 안건 (’22.07월)
위원회명 주요 안건 참석 위원
지속가능경영위원회
  1.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산하 전문 위원회 신설 의결의 건
  2. ’22년 상반기 지속가능경영 주요활동 및 하반기 계획 보고의 건
  3. SBT설정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보고 및 향후 관리방안 의결의 건
  4. NDC 반영 국내 사업장 상향 감축목표에 따른 시나리오별 과부족분 재산정 결과 보고의 건
  5. 지속가능경영위원회 및 산하위원회 신규 위원 임명 의결의 건
9/12명
그린경영위원회
  1. SBT설정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보고 및 향후 관리방안 보고의 건
  2. NDC 반영 국내 사업장 상향 감축목표에 따른 시나리오별 과부족분 재산정 결과 보고의 건
  3. 그린경영 지표 고도화 개선 현황 보고의 건
  4. 제품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및 인증 획득 현황 보고 및 유지/관리 인력 육성 의결의 건
9/11명
정도경영위원회
  1. 인권 원칙 개정 의결의 건
  2. 윤리강령 실천 지침 개정 의결의 건
  3. ’22년 국내외 주요 개선과제 추진현황 보고
7/12명
이해관계자위원회
  1. ’22년 지속가능경영 간행물 발간협환 보고의 건
  2. ’22년 사회공헌활동 계획 및 사회적 가치 창출 측정 보고의 건
3/3명
리스크관리위원회
  1. EU 공급망 실사 관련 입법안 관련 리스크 보고의 건
  2. 생물다양성 관련 리스크 관리 추가 의결의 건
  3. ISSB 제안 공시 초안 관련 리스크 보고의 건
3/3명
공급망관리위원회
  1. EU 공급망 실사 관련 법안 및 영향 보고의 건
  2. 글로벌 공급망 관리 전략 수립 의결의 건
  3. 지속가능한 구매방침 및 녹색구매방침 개정 의결의 건
  4. 주요 협력사 관리 현황 결과 보고의 건 및 개선과제 추진 의결의 건
8/10명
  • ’21년 하반기 지속가능경영위원회 및 하부 분야별 전문 위원회 주요 안건 (’21.12월)펼치기
    ’21년 하반기 지속가능경영위원회 및 하부 분야별 전문 위원회 주요 안건 (’21.12월)
    위원회명 주요 안건 참석 위원
    지속가능경영위원회
    1. ’21년 지속가능경영 활동 결과 및 ’22년 주요 추진과제 보고의 건
    2. SBTi 참여 및 추진 계획 의결의 건
    3. 그린경영 지표 관리 개선 계획 보고의 건
    4. NDC 반영 국내 사업장 감축 목표 상향 의결의 건
    5. 그린경영위원회 및 정도경영위원회 신규 위원 임명의 건
    10/10명
    그린경영위원회
    1. 기후변화 리스크 및 SBTi 참여 계획 보고의 건
    2. 그린경영 지표관리 개선 계획 의결의 건
    3. NDC 반영 국내 사업장 감축목표 상향 보고의 건
    4. ’21년 환경 투자 실적 보고 및 ’22년 계획 의결의 건
    13/13명
    정도경영위원회
    1. ’21년 국내외 ESG평가 결과보고 및 ’22년 개선과제 추진 의결의 건
    2. ’22년 인권 부문 리스크 관리 개선 보고의 건
    3. ’22년 공급망 부문 리스크 관리 개선 보고의 건
    4. ’22년 지속가능경영 교육 개선 보고의 건
    5. ISO37301 (준법경영시스템) 인증 추진 보고의 건
    11/13명
    이해관계자위원회
    1. ’22년 지속가능경영 간행물 발간 계획 보고의 건
    2. ’22년 사회공헌활동 계획 및 사회적 가치 창출 측정 보고의 건
    3. 공정거래자율준수프로그램 안내 공시 의결의 건
    4. 이해관계자 참여 원칙 개선 보고의 건
    3/3명
    리스크관리위원회
    1. 리스크 관리 체계 개선 보고의 건
    2. COP26의 주요 내용과 관련 리스크 보고의 건
    3. 정부 K-ESG 가이드라인 도입에 따른 리스크 및 대응안 보고의 건
    4.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 설립에 따른 예상 변화와 리스크 보고의 건
    3/3명
  • ’21년 상반기 지속가능경영위원회 및 하부 분야별 전문 위원회 주요 안건 (’21.7월) 펼치기
    ’21년 상반기 지속가능경영위원회 및 하부 분야별 전문 위원회 주요 안건 (’21.7월)
    위원회명 주요 안건 참석 위원
    지속가능경영위원회
    1. ’21년 상반기 지속가능경영 주요활동 및 개선과제 보고의 건
    2. 효성첨단소재㈜ 부문별 주요 KPI 설정 의결의 건
    3. 효성첨단소재㈜ SBT(Science-based Target) 설정 보고의 건
    4. 사업부별 주요 제품 탄소라벨링 획득 의결의 건
    5. 지속가능경영 위원회 및 산하위원회 신규 위원 임명의 건
    10/10명
    그린경영위원회
    1. 탄소배출권 2차 계획기간 결과 및 3차 계획기간 예상 보고
    2. SBT(Science-based Target) 설정 의결의 건
    3. 사업장 환경안전점검 결과 보고
    12/13명
    정도경영위원회
    1. ’21년 해외법인 주요 개선과제 진행 결과 보고
        • 1-1. 지속가능 구매방침 수립 및 선언 보고
          1-2. 공급업체 계약서 내 ESG 관련 조항 추가 보고
          1-3. 민감한 거래 프로세스 신설 보고
    2. ’21년 공급자 재평가 항목 강화 의결
    3. 인권영향평가 실시 결과 보고 및 매년 실시 의결
    12/13명
    이해관계자위원회
    1. ’20 효성첨단소재㈜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예정 보고
    2. ’20년 및 ’21년 상반기 CSR활동 결과 보고
    3/3명
    리스크관리위원회
    1. ESG 분야별 리스크 관련 현황 보고의 건
    2. 대기업 ESG 관련 공시 의무화 보고의 건
    3/3명
  • ’20년 하반기 지속가능경영위원회 및 하부 분야별 전문 위원회 주요 안건 (’20.12월) 펼치기
    ’20년 하반기 지속가능경영위원회 및 하부 분야별 전문 위원회 주요 안건 (’20.12월)
    위원회명 주요 안건 참석 위원
    지속가능경영위원회
    1. ’20년 지속가능경영 주요활동 및 성과 보고
    2. 지속가능경영 위원회 및 산하위원회 신규 위원 임명
    10/10명
    그린경영위원회
    1. ’20년 환경안전 투자계획 대비 실적 보고 및 ’21년 계획 의결
    2. 사업장 환경안전점검 결과 보고
    3. 2030 온실가스 정량 감축목표 의결
    4. 기후변화 관련 대응 강화 활동 필요성 보고
    12/13명
    정도경영위원회
    1. ’20년 사회부문 영역별 개선 결과 보고
    2. 윤리강령 3차 개정안 검토 및 의결
    3. ’21년 윤리, 인권, 환경등 추진 계획 보고 (해외 포함)
    11/13명
    이해관계자위원회
    1.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보고
    2. ’20년 지속가능경영 지배구조 부문 개선 결과 보고
    3. ’21년 사회공헌활동 추진 계획 보고
    3/3명
    리스크관리위원회
    1. COVID-19 대응 보고
    2. 기후변화대응 관련 최신 트렌드 보고의 건
    3/3명
  • ’20년 상반기 지속가능경영위원회 및 하부 분야별 전문 위원회 주요 안건 (’20.6월) 펼치기
    ’20년 상반기 지속가능경영위원회 및 하부 분야별 전문 위원회 주요 안건 (’20.6월)
    위원회명 주요 안건 참석 위원
    지속가능경영위원회
    1. 지속가능경영 개선과제 추진현황
    2. ’19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중대성 평가결과 보고 및 보고서내 중요 이슈 선정 의결
    10/10명
    그린경영위원회
    1. 그린경영 Vision 2030 의결
    2. 그린경영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의결
    3. 전사 사업장 환경안전점검 결과 보고
    8/9명
    정도경영위원회
    1. 임직원 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강화
    2. 협력사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한 프로세스 개선
    3. 공정거래자율준수 편람 개정 등
    10/10명
    이해관계자위원회
    1. 사회공헌활동 운영체계 및 전략 의결
    2. 홈페이지 개선 계획 보고
    3. ’19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제출
    3/3명
    리스크관리위원회
    1. COVID-19 대응 보고
    2. COVID-19 장기화에 대한 대응안 보고 및 의결
    3/3명

페이지 네비게이션